치솟던 금 값이 8년 만에 최저치로 추락했다. 세계 경제 회복세와 국채 수익률 상승세 둔화가 금 값 하락을 부추겼다.
2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금 선물 가격은 이날 온스당 1707달러까지 떨어졌다. 지난해 8월 기록한 2072달러에 비해 18% 낮은 수준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백신 접종 확산 속에 대규모 부양책을 발판으로 한 세계 경제 회복세 움직임이 '안전 자산'인 금 수요를 크게 잠식했기 때문이다.
코메르츠방크에 따르면 금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들의 금 보유 규모 역시 1일 현재 14톤으로 줄었다. 올들어 최대 감소폭이다. 금 ETF는 개미 투자자들이 간접적으로 금에 투자할 수 있는 수단이다. 직접 금을 사는 대신 금을 보유한 EFT를 주식처럼 사고 판다.
금은 전세계 주식시장 상승세와 각국 중앙은행의 대대적인 양적완화(QE), 또 이에 힘입은 세계 경제 회복세로 휘청거리고 있다. 안전자산으로서 금은 또 미국 국채와 경쟁에서도 밀리고 있다.
금은 이자가 없지만 미 국채는 적어도 이자는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올들어 지속적인 미 국채 수익률 상승세가 그만큼 금의 매력을 떨어트렸다.
금 가격을 끌어내리는 또 다른 주요 배경은 '디지털 금'으로 부르는 비트코인 같은 암호화폐 득세다. 시티그룹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최근 금 대신 암호화폐, 주로 비트코인을 선호하고 있다. 덕분에 비트코인 가격은 올들어 55% 폭등해 4만9000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박영규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