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일 임기를 시작하는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이 새롭게 불붙은 탄핵 정국을 맞아 정권 초기에 차질이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그는 경기부양안을 비롯해 처리할 일이 산더미처럼 쌓여있는 마당에 의회가 탄핵 심리를 병행할 수 있을지 걱정된다고 밝혔다.
CNN,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바이든 당선인은 11일 델라웨어주 뉴어크에서 2회차 COVID-19 백신을 접종받은 뒤 탄핵안 문제와 취임 초에 통과되어야 할 각종 법안들을 언급했다.
그는 “나는 오늘 하원과 상원 사람들과 대화를 나눴는데 문제는 만약 하원이 탄핵안을 가결해서 상원으로 보낸다면 상원이 두 갈래로 나뉘어 탄핵 심리와 법안 처리를 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이어 “상원이 하루 절반은 탄핵안을 다루고 나머지 절반은 새 정부 지명자 인준을 할 수 있을까?”라며 “나의 최우선 과제는 첫 번째로 경기 부양안을 통과시키는 것이고 두 번째는 경제를 재건하는 것이다”고 강조했다.
여야는 지난달 9000억달러 규모의 5차 코로나 경기부양책에 합의했지만 바이든 당선인과 민주당 측에서는 여전히 부족하다고 반발했다. 특히 민주당은 이번 부양책에 포함된 2차 재난지원금이 1인당 600달러로 1차(1200달러)에 비해 반으로 줄었다며 여당을 비난했다.
바이든 당선인은 이달 조지아주 결선투표 유세에서 “1월 중에 추가 경기부양책을 통해 국민들에게 1인당 2000달러씩 지급하겠다”면서 새 부양책 규모가 2~3조달러에 이른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당선인은 이르면 14일에 추가 부양책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예정이다.
민주당 리처드 블루멘탈 상원의원(코네티컷)은 WP를 통해 바이든 당선인의 조바심에 공감한다면서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가를 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WP에 의하면 바이든 당선인이 지난 8일 민주당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캘리포니아주)과 만나 자신은 탄핵 문제에 개입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바이든 관계자는 “당시 바이든 당선인은 펠로시 의장에게 본인은 자기 일에만 집중하고 탄핵 문제는 펠로시 의장의 손에 맡기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관계자는 “이에 펠로시 의장은 바이든 당선인에게 탄핵 문제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탄핵안은 현재 민주당이 하원 과반을 차지한 만큼 무난하게 하원을 통과할 전망이다. 그러나 상원의 경우 가결에 3분의 2 찬성이 필요하며 공화당 의원 17명이 탄핵안에 찬성해야 한다. 아울러 미치 맥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켄터키주)는 오는 19일까지 상원 소집이 어렵다고 예고했다.
<미치 맥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
이에 정치 매체 폴리티코는 민주당 내부에서 일단 탄핵안이 하원을 통과하면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100일동안 기다렸다가 상원에 송부해 바이든 정부의 초기 부담을 줄이자는 의견도 있다고 전했다.
한편 바이든 당선인은 11일 백신 접종 자리에서 지난 6일 의회 난입 사태를 비난했다. 그는 "사람들의 목숨을 위협하고 공공 자산을 훼손해 심각한 위험을 초래한 폭동 선동자들이 책임을 물도록 하는 일에 진지하게 초점을 맞추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바이든은 20일 취임식에서 의회 난입 사태와 같은 폭력 사태가 재발할까 두렵냐는 질문에 "아니다"라며 "외부에서 취임 선서를 하는 게 두렵지 않다"고 답했다.
<박영규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