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실업 피해가 과소평가됐다고 지적하고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강조했다.
CNBC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이날 뉴욕경제클럽 화상 연설에서 "COVID-19 대유행 초기에 비하면 1200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되찾았지만 갈 길이 멀다"고 밝혔다.
그는 공식 실업률이 실제 피해를 "극적으로 과소평가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해 3월 대유행 시작 이후 노동부를 고심하게 한 오분류(Misclassification)가 없다면 실업률은 아마 10%에 육박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1월 공식 실업률은 6.3%였다.
파월 의장은 "노동통계국은 많은 실업자를 고용된 사람으로 잘못 분류하고 있다"며 "이 잘못된 분류를 바로잡고 지난해 2월부터 노동시장을 떠난 사람들을 실업자로 계산하면 1월 실업률은 10%에 육박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실업 영향을 저소득층이 불균형적으로 많이 받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초기 회복의 놀라운 속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혜택이 광범위하게 공유되는 강력한 노동시장과는 거리가 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연준의 통화정책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파월 의장은 "일자리를 잃은 사람 수와 대유행 후 경제에서 일자리를 찾으려 고군분투할 사람이 있단 점을 고려할 때, 최대 고용을 달성하고 유지하는 데는 지원적인 통화정책 이상의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여기에는 정부와 민간 부문의 기여와 함께 사회 전체의 책무가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이런 발언은 일자리 창출 속도가 상당히 느려진 가운데 나왔다고 CNBC는 전했다.
실업률은 지난해 14.8%로 최고치를 찍었다가 1월 6.3%로 내려왔지만, 1월 비농업 부문 일자리는 4만9000개 증가에 그쳤다. 지난해 12월에는 22만7000개 줄었다.
COVID-19가 유행하기 전인 지난해 2월 실업률은 반세기 만에 최저 수준인 3.5%였다.
<박영규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