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5박 7일 동안의 방미 일정을 마치고 지난 4월 30일 귀국한 가운데 1일 첫 메시지를 통해 ‘청년 미래세대의 기회 플랫폼’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참모들에게 한·미 정상회담 후속조치를 당부하는 자리에서 미래를 위한 경제 협력 강화, 인적 교류 강화를 각별히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미국 첨단기업의 59억 달러 투자 유치, 차세대 핵심·신흥기술 대화 신설, 한·미 우주협력 공동성명, 양자과학기술협력 공동성명 등의 성과를 냈다고 평가했다.
대통령실이 ‘한·미 확장억제 강화’와 함께 ‘첨단기술동맹 격상’을 한·미 정상회담의 두 가지 주제로 정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정부는 2023명의 청년들 간 교류를 위해 공동으로 6000만 달러 규모의 재원도 조성하기로 했다. 대규모 인적교류를 정상회담 성명에 명문화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윤석열 대통령 부부가 30일 5박7일이 국빈 방미를 마치고 귀국하고 있다. 출처 NBC뉴스 캡처>
주요 7개국(G7)에 한국을 포함하는 이른바 ‘G8 구상’도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힘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G7 외에 인구 5000만 명·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이상을 갖춘 국가는 한국뿐이다.
명실상부한 선진국 대열에 포함되면 앞으로 한국 정부는 물론 전 세계에 진출한 한국 국민의 위상도 현격히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게 새 정부의 구상이다. 윤 대통령과 가까운 김병준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직무대행이 최근 한국의 ‘G8’ 참여를 위해 미국 싱크탱크 및 재야 전문가들과 만나 협조를 구하고 있다.
한편, 지난 24일 출국했던 윤 대통령은 조 바이든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북한 정권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번갈아 내놓으며 새로운 확장억제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워싱턴 선언'을 별도 문건으로 채택했다. 특히 양국의 새로운 확장억제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핵협의그룹(NCG)' 창설을 공식화했다.
경제 분야에서도 두 정상은 협력을 통한 시너지에 큰 기대감을 드러냈다. 인플레이션감축법과 반도체과학법 등 첨예한 사안에 대해서는 당장의 해결 대신 협의와 조율을 선택했다. 방점은 전략적 파트너십에 찍었다. 2013년 박근혜 전 대통령 이후 10년 만에 이뤄진 한국 대통령의 미국 상하원 합동연설, 대한민국 현직 대통령으로는 첫 하버드대 연설도 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