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가 실제 주행거리가 광고와 달라 소비자를 속였다며 소송을 당했다.
모델 Y 등 소유주 3명은 테슬라가 주행 거리를 허위로 광고했다며 지난 2일 캘리포니아 북부 지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고 6일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이들은 자신들의 차량이 광고된 주행거리에 크게 밑돌았으며 회사에 민원을 제기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소송대리인인 애덤 A. 에드워즈는 "간단히 말해 테슬라는 광고한 대로 작동하는 제품을 소비자들에게 배달할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
모델 Y 소유자인 제임스 포터는 소송에서 "한 번 운전할 때 92마일(약 148㎞)을 운행했는데도 주행할 수 있는 거리는 약 182마일(약 292㎞)이 없어졌다"고 밝혔다.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의 한 테슬라 대리점. 코리아데일리타임즈 자료사진>
이들은 "테슬라가 정직하게 주행 범위를 광고했다면 테슬라 모델 차량을 구입하지 않거나 비용을 훨씬 더 적게 지불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테슬라 모델 3, 모델 S, 모델 Y, 모델 X 차량을 구입한 모든 사람"을 대표하기 위한 집단소송 지위를 구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소송은 지난달 27일 테슬라가 주행거리와 관련한 민원을 무마하기 위한 조직을 비밀리에 꾸려왔다는 의혹 이후에 제기됐다.
테슬라 차량의 광고와 실제 주행거리가 다르다는 민원이 급증하면서 테슬라가 지난해 여름 라스베이거스에 '전환팀'이라고 하는 민원 전담팀을 조직했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전환팀'은 주행거리 관련 민원으로 서비스센터를 찾으려는 차주들이 많이 늘어나면서 고객들의 예약 취소가 주된 임무라고 로이터는 설명했다.
소식통은 관리자들이 직원들에게 고객 예약을 취소할 때마다 약 1000달러를 절약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지시에 따라 10년 전부터 배터리 완전 충전 시 주행할 수 있는 거리 추정치를 높이는 알고리즘을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테슬라는 작년 9월에는 자율주행 기술과 관련해서도 "완전히 작동하는" 또는 "곧 그렇게 될" 기술이라고 속였다며 소송을 당한 데 이어 자율주행 보조기능 장치인 '오토파일럿'의 오작동 문제로도 피소됐다.
<박현종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