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샌프란시스코 대한민국 총영사관(총영사 임정택)과 일본 총영사관 공동으로 국경 없는 혁신, 상호 협력 통한 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및 투자유치 지원 등을 골자로 하는 교류 행사를 개최했다.
13일 실리콘밸리 팔로알토의 제팬 이노베이션 캠퍼스(Japan Innovation Campus, 일본혁신캠퍼스)에 한일 스타트업, 벤처투자자가 한자리에 모였다.
<13일 한일 총영사관 주최로 양국의 스타트업, 벤처투자자가 모여 상호협력, 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및 투자유치 지원을 공동 모색하는 행사를 갖고 있다.>
한일 양국 총영사관을 비롯해 중소벤처기업부와 한국벤처투자(KVIC US), 한국혁신센터(KIC SV), 일본혁신캠퍼스가 힘을 보탰다.
이번 행사는 작년 11월 스탠퍼드대에서 양국 정상이 참석한 한일 스타트업 간담회에 이어, 국경 없는 혁신과 상호 협력을 통한 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및 투자유치 지원 등을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한일 총영사와 양국의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대표, 벤처투자자 등 120여명이 참석했으며, 캘리포니아주정부(GO-Biz), 캐나다총영사관, 브라질총영사관 관계자도 참석, 최근 실리콘밸리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한일 스타트업 및 지원정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줬다.
양국 총영사의 환영사에 이어, 스타트업 정책 소개, 패널토론 및 스타트업 피칭, 네트워킹 등의 순서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서 참석자들은 서로의 실리콘밸리 경험을 나누고 네트워킹 시간을 통해 지속적인 교류와 상호 협력 필요성에 공감했다.
<임정택 샌프란시스코 총영사가 환영사를 하고 있다.>
VC(벤처투자) 패널토론에서는 최근 실리콘밸리 벤처투자 동향과 글로벌 VC 관점에서 느낀 한국과 일본 스타트업의 아쉬운 점, 성공적인 투자유치를 위한 팁 등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
VC 패널로는 김형준(Z Venture Capital), 에릭 반Eric Bah(Hustle Fund), 토시 오타니(Translink Capital), 나오코 오쿠모토(Niremia Collective) 등이 참여했다.
<실리콘밸리 벤처투자 동향 등을 설명하고 있는 벤처 투자자들.>
스타트업 패널토론에서는 선배 스타트업들의 경험담과 난관 극복 과정, 투자유치 스토리와 함께 실리콘밸리에 도전하는 스타트업들을 위한 조언 등이 이어졌다.
DJay 리(Wrtn Technologies), 스티브 리(AmazeVR), 가쥬기 나가야시기(Glasp), 겐지 니와(Firstcard) 등이 스타트업 패널로 자리했다.
<스타트업 패널들이 시리콘밸리에서 겪은 경험담과 난관 극복 과정, 투자유치 스토리 등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스포츠박스 AI(Sportsbox AI), 클레이디스(Claythis), 메드메인(MedMain), Q레이(Qlay) 등 4개 스타트업이 피칭을 통해 사업 설명과 함께, 참석한 글로벌 VC로부터의 투자유치 확보 등을 모색했다.
이날 행사를 공동 주최한 임정택 총영사는 “스타트업 성지이자 혁신 거점인 실리콘밸리 한복판에서 언어와 문화 차이 등 비슷한 애로를 가진 한국과 일본 스타트업들이 서로를 응원하고, 교류․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개최했다”며 "실리콘밸리에서 많은 일본 스타트업이 활동 중이고 미국에 이어 일본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 스타트업들도 많다. 이번 행사가 우리 스타트업의 성공적인 글로벌 진출을 위한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온안 기자>